본문 바로가기
백준(Python) 풀이

백준 2869번.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(Python / 파이썬)

by yewonnie 2022. 7. 12.

문제

땅 위에 달팽이가 있다. 이 달팽이는 높이가 V미터인 나무 막대를 올라갈 것이다.
달팽이는 낮에 A미터 올라갈 수 있다. 하지만, 밤에 잠을 자는 동안 B미터 미끄러진다. 또, 정상에 올라간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는다.
달팽이가 나무 막대를 모두 올라가려면, 며칠이 걸리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세 정수 A, B, V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서 주어진다. (1 ≤ B < A ≤ V ≤ 1,000,000,000)

출력

첫째 줄에 달팽이가 나무 막대를 모두 올라가는데 며칠이 걸리는지 출력한다.

문제 풀이

달팽이는 높이가 V미터인 나무 막대를 올라가는데

낮에 A미터 올라가지만 밤에 B미터 미끄러진다. 

단, 정상에 올라간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는다. 

 

달팽이는 하루에 A-B 미터 씩 올라갈 수 있다. 

하지만 정상에 올라간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는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. 

만약 A = 2, B = 1, V = 5일 때 만약 정상에 올라간 후에도 미끄러진다고 하면 

달팽이는 1일차에 2까지 올라갔다가 1로 내려오고 

2일차에 3까지 올라갔다가 2로 내려오고 

3일차에 4까지 올라갔다고 3으로 내려오고 

4일차에 5까지 올라갔다가 4로 내려온다. 

즉, 달팽이가 정상에 도달했을 때 무조건 미끄러진다고 할 때 V - B 위치에 도달한다. 

하지만 실제로는 미끄러지지 않은 것이므로 달팽이는 V - B 까지만 도달하면 

V까지 도달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. 

 

따라서, (V - B)를 (A - B)로 나눈 몫이 달팽이가 올라가는 일 수가 된다. 

만약 나눈 나머지가 0이 아니라면 달팽이가 아직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이므로 

1을 더해 출력해주면 된다. 


My Code

A, B, V = map(int,input().split())

if (V - B) % (A - B) == 0:
    print((V - B) // (A - B))
else:
    print((V - B) // (A - B) + 1)

 

댓글